분류 전체보기 125

한국 성결교회의 문제점과 사이비성 논란

한국 성결교회의 문제점과 사이비성 논란한국 성결교회는 1907년 김상준과 정빈 목사가 서울에 동양선교회 복음전도관을 세우면서 시작되었다. 이는 미국의 홀리네스(Holiness) 계통 선교 단체인 동양선교회의 지원으로 설립된 것으로, 이후 교세를 확장하며 기독교대한성결교회(기성)와 예수교대한성결교회(예성)로 분리되었다. 그러나 교단 내부에서는 여러 부정과 문제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어, 사이비성 논란이 제기되고 있다.성결교회의 교리와 조직 구조성결교회의 신학은 웨슬리안 알미니안 전통을 기반으로 하며, ‘성결’을 강조한다. 대표적인 교리로는 사중복음(중생, 성결, 신유, 재림)이 있으며, 신자의 거룩한 삶과 경건을 중시한다. 교단은 총회 제도를 운영하며, 지방회 및 개별 교회가 독립적으로 운영되나 감리교적..

Factos 2025.03.27

최신 사이비 단체 리스트 및 근황 업데이트

최신 사이비 단체 리스트 및 근황 업데이트최근 한국 사회에서는 사이비 종교 단체들의 범죄 행각이 계속해서 드러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이들에 대한 경계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특히, 한국 개신교 주요 교단들에서도 성범죄, 재정 비리, 세습 등의 문제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지만, 내부적으로 이를 은폐하거나 가해자를 감싸는 모습이 지속되면서 신뢰를 크게 잃고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기존의 사이비 단체뿐만 아니라, 주요 개신교 교단에서 벌어진 범죄 사례들도 함께 정리하여, 보다 객관적인 관점에서 이단 및 사이비 리스트를 최신화해 보았습니다.1. 기독교복음선교회(JMS) – 여신도 성범죄 사건JMS(기독교복음선교회)는 정명석 총재가 이끄는 단체로, 오랜 기간 여신도들을 상대로 한 성범죄가 지속적으로 발생해..

Factos 2025.03.27

교황청은 왜 교황의 건강을 언론에 적극 알릴까?

교황청은 왜 교황의 건강을 언론에 적극 알릴까?최근 교황의 건강 상태가 연일 뉴스 헤드라인을 장식하고 있다. 입원 소식부터 회복 과정까지, 언론은 그의 건강을 지속적으로 보도하며 대중의 관심을 유도하고 있다. 단순한 안부 뉴스처럼 보일 수 있지만, 이를 조금만 비판적으로 바라보면 단순한 건강 이슈 그 이상의 의미가 숨어 있음을 알 수 있다.바티칸의 이례적인 정보 공개평소 내부 정보에 인색한 바티칸이 이번에는 적극적으로 교황의 건강 상태를 알리고 있다. 이는 자연스럽게 언론의 반복 보도를 이끌어내고, 교황의 존재감을 더욱 부각시키는 효과를 낳는다. 단순히 건강 소식일 뿐인데도 전 세계적인 관심을 받는 것은 가톨릭 교회의 위상을 다시 한번 확인하는 계기가 된다.교황의 신비화와 신격화언론 보도는 교황을 단순한..

Factos 2025.03.21

교황 건강 이슈와 자서전 출간: 마케팅인가, 신앙인가?

교황 건강 이슈와 자서전 출간: 마케팅인가, 신앙인가?최근 프란치스코 교황의 건강 이슈가 지속적으로 언론에 오르내리는 가운데, 가톨릭출판사를 통해 공식 자서전 《희망》이 출간되었다. 표면적으로는 교황의 삶과 철학을 담은 책이지만, 그 이면에는 몇 가지 논란이 제기되고 있다. 건강 문제를 출판 마케팅 도구로 활용했다는 점, 폐쇄적인 출판 과정으로 객관성이 부족하다는 점, 그리고 높은 가격 책정으로 상업적 의도가 엿보인다는 점이 그 핵심이다. 더 나아가, 이러한 출판 전략이 가톨릭 교회의 전통적인 언론 장악 및 대중 세뇌 전략의 일환이라는 시각도 존재한다.1. 건강 이슈를 이용한 출판 마케팅 전략프란치스코 교황은 고령으로 인해 여러 차례 건강 문제를 겪어왔다. 2021년 대장 수술, 2023년 탈장 수술, ..

Factos 2025.03.21

성범죄로 얼룩진 개신교, 이제는 변해야 한다

성범죄로 얼룩진 개신교, 이제는 변해야 한다최근 개신교회에 대한 신뢰가 심각하게 흔들리고 있다. 교회는 신앙공동체로서 정의와 도덕성을 가장 중요하게 여겨야 하지만, 목회자들의 성범죄가 잇따르면서 그 본질을 의심받고 있다. 한 조사에 따르면 교회 내 성폭력 사건의 68%가 목사·전도사 등 지도자급 인물에 의해 발생했다고 한다. 더욱 충격적인 것은 이러한 사건이 교단에 보고되고 제대로 된 징계를 받은 사례가 극히 드물다는 점이다.잇따르는 목회자 성범죄와 교회의 무책임한 대응으로 인해, 이제 개신교는 '사이비'와 다를 바 없다는 비판까지 받고 있다.끊이지 않는 목회자 성범죄교회 내 성범죄는 단순한 일탈이 아니라, 구조적인 문제로 자리 잡고 있다. 대표적인 사례가 만민중앙교회 이재록 목사다. 그는 여신도 8명을..

Factos 2025.03.13

‘사이비’ 개념의 형성과 변화, 그리고 사회적 역할

‘사이비’ 개념의 형성과 변화, 그리고 사회적 역할1. ‘사이비’ 개념의 기원과 변화‘사이비(似而非)’는 본래 “겉보기에는 비슷하지만 본질적으로 다르다”는 의미로, 공자가 위선과 가식을 비판하며 사용한 개념이다. 이후 이 용어는 도덕적 의미에서 확장되어 가짜와 거짓을 뜻하는 말로 사용되었으며, 특히 종교 분야에서 강조되었다. 한국어에서는 ‘사이비 종교’라는 표현이 정착하여, 사회적으로 용납되지 않거나 해악을 끼친다고 여겨지는 종교를 의미하게 되었다. 서구의 ‘컬트(cult)’나 ‘이단(heresy)’ 개념과 유사하지만, 이단이 주로 교리적 차이를 강조하는 반면, 사이비는 거짓성과 악의적 속성을 부각하는 특징이 있다.2. 역사적으로 ‘사이비’ 개념의 사용과 종교적 박해역사적으로 지배적인 종교 집단이나 권력..

Factos 2025.03.13

언론의 천주교 보도, 과연 공정한가?

언론의 천주교 보도, 과연 공정한가? 2027년 ‘서울 세계청년대회’를 향한 언론의 시선2027년 서울에서 열릴 ‘세계청년대회(World Youth Day)’는 천주교계의 대표적인 국제 행사 중 하나입니다. 하지만 이를 다루는 한국 언론의 태도는 과연 균형 잡힌 것일까요?현재 언론 보도를 보면 행사 규모를 지나치게 부풀리는 경향이 있습니다. 주최 측에서는 전 세계에서 약 50~70만 명이 참가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지만, 일부 언론은 이를 기정사실화하며 최대 100만 명 이상이 몰릴 것처럼 보도하고 있습니다. 더 나아가, 프란치스코 교황이 방한할 가능성이 제기되자, 언론은 대회의 국제적 위상과 의미를 강조하며 마치 ‘국민적 축제’인 양 분위기를 조성하고 있습니다.또한 국회와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도 중요..

Factos 2025.03.05

천주교 내 여성 차별 및 성범죄 논란에 대한 분석

1. 성차별적 언어와 인식 문제함세웅 신부의 발언 논란에서 드러나듯이, 일부 성직자들은 성평등 감수성이 부족한 발언을 하면서도 그 심각성을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의 발언이 의도적으로 여성 비하를 하려는 것이 아니었다고 해도, 그 표현 방식에서 성차별적 인식이 반영되었다는 점은 부정할 수 없습니다. 이는 종교계뿐만 아니라 사회 전반에 걸쳐 여전히 잔존하는 성별 고정관념이 얼마나 뿌리 깊은지를 보여줍니다.특히, 천주교는 가부장적 구조를 유지해 온 대표적인 종교 중 하나입니다. 교황청이 오랫동안 여성 사제를 인정하지 않고 있으며, 여성들은 교회 내에서 보조적 역할에 머물러야 한다는 인식이 강합니다. 이러한 문화 속에서 성직자의 성차별적 발언이 나오는 것은 어쩌면 필연적인 결과일지도 모릅니다.이제..

카테고리 없음 2025.03.05

한국 천주교 언론의 선전 전략과 정치 개입: 그 현황과 문제점

한국 천주교 언론의 선전 전략과 정치 개입: 그 현황과 문제점한국 천주교는 다양한 언론 매체와 유튜브 채널을 통해 신자들에게 정보를 전달하고, 사회적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들 매체가 교회의 긍정적인 이미지를 조성하는 데만 치중하고, 특정 정치적 이슈에 개입해 여론을 조작한다는 비판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한국 천주교 언론과 유튜브 채널의 운영 현황, 선전 전략, 그리고 정치적 개입 사례를 살펴보겠습니다.1. 한국 천주교 언론 및 유튜브 채널 현황1) 주요 천주교 언론 매체한국 천주교는 신문, 방송국, 인터넷 매체 등 10개 이상의 주요 매체를 보유하고 있습니다.가톨릭신문: 한국에서 가장 오래된 가톨릭 주간신문으로, 전국적인 발행망을 통해 교회의 가르침과 활동을 전달합니다.가톨..

Factos 2025.02.27

2027 서울 세계청년대회(WYD) 세금 지원 논란: 무엇이 문제일까?

2027 서울 세계청년대회(WYD) 세금 지원 논란: 무엇이 문제일까?2027년 서울에서 열릴 예정인 세계청년대회(World Youth Day, WYD), 들어보셨나요? 가톨릭 교회가 전 세계 청년들을 대상으로 2~3년마다 개최하는 국제 종교 축제인데요. 서울에서 열리게 된 만큼 국내에서도 큰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하지만 기대감과 함께 논란도 적지 않습니다. 바로 세금 지원 문제 때문인데요. 오늘은 이 논란의 핵심 쟁점들을 함께 살펴보겠습니다.1. 정교분리 원칙, 위반 아니야?첫 번째 쟁점은 바로 정교분리 원칙입니다. 대한민국 헌법 제20조에는 “국교는 인정되지 아니하며, 종교와 정치는 분리된다”고 명시되어 있죠.그런데 세계청년대회는 가톨릭 교회의 국제 종교 행사입니다. 고해성사, 미사 등 가톨릭 예배..

Factos 2025.0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