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종'이라는 단어, 정말 아무 문제 없을까요?
며칠 전, 프란치스코 교황이 세상을 떠났다는 소식이 전해졌습니다. 많은 분들이 애도의 마음을 표했고, 국내 언론들 역시 일제히 그의 죽음을 보도했죠. 그런데 유독 눈에 띄는 단어가 있었습니다. 바로 **‘선종(善終)’**입니다.
처음에는 그저 경건하고 조심스러운 표현이라 생각했을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이 표현, 정말 언론이 아무 설명 없이 써도 괜찮은 걸까요?
'선종'은 단순한 완곡어가 아닙니다
‘선종’이라는 말은 가톨릭 신앙에 깊이 뿌리박힌 개념입니다. 단순히 "평안하게 눈을 감았다"는 뜻이 아닙니다. 가톨릭에서 선종은 죽기 전 고해성사와 병자성사를 받고, 영혼에 대죄가 없는 상태에서 세상을 떠났음을 의미합니다. 말 그대로 신앙적으로 완벽하게 준비된 죽음이죠.
그렇다면 이 질문을 던져야 합니다. 세속 언론이 이런 종교적 용어를 아무 설명 없이 사용하는 게 과연 중립적인가?
중립을 지켜야 할 언론, 신앙을 말하다
언론은 사실을 전달하는 기관입니다. 특정 종교의 교리를 객관적인 사실처럼 받아쓰는 순간, 이미 중립성을 잃은 것이나 다름없습니다. ‘선종’이라는 단어는 단지 경의를 표현하는 게 아니라, 가톨릭적 해석을 사실처럼 포장하는 행위입니다.
우리는 누구의 죽음이든 담담하게 받아들이고 전해야 합니다. 아무리 존경받는 인물이라도, 죽음 그 자체는 누구에게나 동일한 현실이기 때문입니다.
애도의 마음은 세속적인 언어로도 충분합니다
물론, 교황이라는 인물에 대한 애정과 존경은 충분히 이해합니다. 언론도 그 마음을 담아 표현하고 싶었겠죠. 하지만 굳이 종교적인 확언이 담긴 용어를 빌릴 필요는 없습니다.
‘서거’, ‘별세’, ‘영면’ 같은 단어로도 충분히 경건하고 조심스럽게 애도를 표할 수 있습니다. 세속 국가의 언론이라면, 표현의 방식에서도 그 세속성과 중립성을 잃지 말아야 하지 않을까요?
언론은 누구의 전령인가?
결국 중요한 건 언론이 누구를 위해 존재하는가입니다. 언론은 진실을 전달하는 기관이지, 종교 권위를 대변하는 전령이 아닙니다. ‘선종’이라는 한 단어 속에는 권력, 신앙, 상징이 복잡하게 얽혀 있습니다. 그것을 무비판적으로 받아쓰는 순간, 언론은 스스로 역할을 포기하게 됩니다.
이제는 생각해봐야 할 때입니다. 우리는 언어 속에 숨어 있는 권위를 얼마나 자주, 얼마나 무비판적으로 받아들이고 있는가? 그리고 언론은 그 속에서 얼마나 자주, 본연의 자세를 놓치고 있는가?
세상의 모든 죽음 앞에서 언론은 오직 사실과 세속적인 언어로 말해야 합니다. 그것이 독자에 대한 예의이고, 언론의 양심입니다.
'Facto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녀 마더 테레사, 진짜 모습은 어땠을까? (1) | 2025.04.18 |
---|---|
성직자의 성범죄, 거룩함 뒤에 숨은 면죄부는 없다 (0) | 2025.04.10 |
사임하지 않는 프란치스코 교황, 책임일까 욕심일까? (0) | 2025.04.04 |
한국 성결교회의 문제점과 사이비성 논란 (0) | 2025.03.27 |
최신 사이비 단체 리스트 및 근황 업데이트 (1) | 2025.03.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