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historylibrary.net/entry/XFile-48
콘클라베, ‘신의 선택’이라는 허상의 민낯
가톨릭 신자라면 누구나 한 번쯤은 들어봤을 이름, 콘클라베(Conclave). 전 세계 10억 명이 넘는 가톨릭 신자들의 영적 지도자인 교황을 뽑는 비밀 회의입니다. 그런데 이 거대한 종교 공동체의 최고 지도자를 선출하는 과정이, 알고 보면 놀라울 정도로 비민주적이고 폐쇄적이라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밀실에서 벌어지는 ‘신의 뜻’ 선출극
‘콘클라베’는 라틴어로 **‘열쇠로 잠근 방’**이라는 뜻입니다. 이름 그대로, 이 회의는 외부와 철저히 단절된 바티칸의 한 공간에서 진행되며, 입장 가능한 사람은 단 120명 안팎의 추기경뿐입니다. 평범한 신자, 심지어 대부분의 성직자조차 이 과정에 전혀 참여할 수 없습니다.
말하자면, 교회의 최고 권력자가 극소수 엘리트 집단의 비공개 투표를 통해 선출되는 구조인 것이죠. 이는 현대 민주 사회의 원칙과는 전혀 맞지 않는 방식입니다. 요즘 세상에서 어느 집단이 이런 식으로 리더를 뽑는지 되묻고 싶을 정도입니다.
정치와 타협으로 만들어지는 ‘신의 사람’
교황이 선출되고 나면 우리는 흔히 “성령의 인도 아래 뽑혔다”, “신이 선택하신 분”이라는 말을 듣게 됩니다. 하지만 실제로 콘클라베에서 벌어지는 일은 그리 신성하거나 초월적인 것이 아닙니다.
사실은 그 안에서 정치적 수 싸움과 이익 계산이 치열하게 벌어집니다. 진보와 보수의 대립, 개혁을 원하는 그룹과 안정적 유지에 집중하는 그룹 간의 연합과 설득, 전략적인 표 계산이 펼쳐집니다. 결국, 많은 경우 교황은 그저 이런 정치적 타협의 산물일 뿐입니다. 그런데도 그 결과만을 두고 “신이 선택하셨다”고 포장하는 건, 신앙을 빙자한 허위의식이 아닐까요?
신비주의가 권력 구조를 지탱한다
콘클라베의 철저한 비밀주의와 의식화된 분위기는 교회 권력 구조를 지금 모습 그대로 유지하는 데 효과적인 수단이 되어 왔습니다. 외부의 감시도, 신자들의 의견 개진도 허용되지 않으니, 기득권층은 자신들의 권력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습니다. 중세 시대 영주들이 성 안에서 차기 군주를 추대하던 모습을 떠올리게 할 정도입니다.
문제는, 이런 구시대적 구조가 오늘날에도 그대로 유지되고 있다는 것입니다. 평신도는 여전히 배제되고, 하위 성직자의 목소리는 들리지 않습니다. 그런 가운데, 신자들은 새 교황을 **‘그냥 받아들이라’**는 식의 일방적 통보를 받는 셈이죠.
“종교는 다르다”? 그 말이 통할까?
물론, 교회 측에서는 이렇게 말할 수 있습니다. “종교 조직은 세속 국가와 다르다. 민주주의 원칙을 그대로 적용할 수는 없다.” 하지만 묻고 싶습니다. 과연 그렇기 때문에 세계인의 존경과 신뢰를 기대할 수 있는 걸까요?
전근대적 방식으로 지도자를 뽑아 놓고, 현대 사회 속에서 도덕적 권위와 영향력을 유지하고 싶다면, 이건 어불성설입니다. 시대는 바뀌었고, 교회 역시 그 변화에 응답할 책임이 있습니다.
신의 이름 뒤에 숨겨진 인간의 욕망
결국, 콘클라베는 우리가 생각하는 것처럼 순수하고 거룩한 절차가 아닐 수 있습니다. 기도와 찬송 너머로, 인간의 욕망과 계산, 권력 다툼이 교묘하게 얽혀 있는 그 현실. 이제는 더 많은 사람들이 이 ‘신의 선택’이라는 허상을 냉철하게 들여다볼 때가 아닐까요?